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알아두면 요긴할 의학용어

by 공달. 2025. 3. 12.

'알아두면 요긴할 의학용어'입니다. 많은 의학용어들이 한자나 영어로 되어 있어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 면이 있어 정리해 봅니다.

 

1. 비뇨계

  • 가성통풍(假性痛風, pseudogout) 활액 내 요산염 대신 피로인산칼슘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통풍과 임상적으로 유사한 관절염
  • 세뇨관 탁종(細尿管 濁腫) 신장의 세뇨관에 나타나는 종기(腫氣)로 소변을 탁하게 하거나 통증을 동반할 수 있는 상태
  • 신부전(腎不全, renal failure) 혈액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배출하는 신장의 기능에 이상이 생긴 상태
  • 요실금(尿失禁, urinary incontinence)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요도를 통하여 소변이 유출되는 증상
  • 요폐(尿閉, urinary retention) 방광에 오줌이 괴어 있지만 배뇨하지 못하는 상태
  • 혈뇨(血尿, hematuria) 오줌에 적혈구가 섞인 것

 

2. 소화계

  • 고창증(鼓脹症, tympanites) 반추 동물, 특히 소의 혹 위에서 음식물의 이상 발효로 갑자기 많은 가스가 생겨 배가 불룩해지는 증세
  • 구갈(煩渴, polydipsia) 갈증이 심해 다량의 물이 마시고 싶은 증세
  • 구음장애(構音障碍, articulationdisorder) 발성 기관의 기능 이상으로 말하기 어려운 상태
  • 오심(惡心, nausea) 속이 메스꺼워 토하려고 하는 상태. 불쾌하고 울렁거리며 구역질이 나면서도 토하지 못하고 신물이 올라오는 증상
  • 인후종통(咽喉腫痛) 목구멍이 붓고 아픈 병증. 목구멍에 생기는 질환의 주된 증상
  • 장음감소(腸音減少) 장의 운동 소리가 저하된 상태. 장 마비 증상이 있을 때 나타나며, 청진기로 장음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음

 

청진기를 들고 있는 의사

3. 신경계

  • 근육강직(筋肉強直, muscle infraction) 여러 가지 원인으로 골격근이 수축하거나 굳는 증상
  • 바빈스키 징후(Babinski’s sign) 발바닥 외측부를 발뒤꿈치에서 발가락 쪽으로 침 등 뾰족한 것으로 문지르면 엄지발가락이 배굴하는 병적 반사 현상
  • 산동(散瞳, mydriasis) 동공이 확대되는 상태, 동공 산대
  • 섬망(譫妄, delirium) 의식장애와 내적인 흥분의 표현으로 볼 수 있는 운동성 흥분을 나타내는 병적 정신상태
  • 안검하수증(眼瞼下垂症, ptosis of eyelid) 눈꺼풀이 처져서 시야를 가리는 증상. 눈꺼풀 올림근의 기능이 떨어져서 생긴다
  • 암점(暗點, scotoma) 시야 내에 있는 섬 모양의 시야결손부
  • 오한(惡寒, chill) 갑작스럽게 몸에 열이 나며 추위를 느끼는 증상. 몸이 덜덜 떨림이 관찰되는 불수의적인 근육수축
  • 이명증(耳鳴症, tinnitus) 귀울림이라고도 하며, 상응하는 외부의 소리가 없음에도 귀에서 소리를 인식하는 증상
  • 지남력 상실(指南力 喪失) 시간, 장소, 환경 따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이 없는 일
  • 현훈(眩暈, dizziness) 회전감, 부동감 등을 동반하는 평형장애, 어지러움

 

4. 심혈관계

  • 기외수축(期外收縮, extrasystole) 심장에 이상 자극이 형성되어 정상적인 박동 이외에 다른 박동이 일어나는 상태
  • 방실차단(傍室遮斷, auriculoventricular block) 심장 박동을 유지하는 신호가 동맥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심실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맥박이 비정상적으로 느려지는 상태
  • 부정맥(不整脈, arrhythmia) 맥박의 리듬이 빨라졌다가 느려졌다가 하는 불규칙적인 상태
  • 빈맥(頻脈, tachycardia) 맥박의 횟수가 정상보다 많은 상태
  • 서맥(徐脈, bradycardia) 맥박의 횟수가 정상보다 적은 상태
  • 심계항진(心悸亢進, palpitation) 환자가 심박을 느낄 수 있는 상태, 그리고 이에 따른 불편감
  • 용혈(溶血, hemolysis) 적혈구가 파괴되어 헤모글로빈이 혈관 등의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
  • 저칼륨혈증(hypokalemia) 대사성 산증, 약물 사용, 당뇨병성 케톤산증, 유전성 질환 등의 원인으로 혈청 칼륨치가 정상(3.5~5.5 mmol/L)치 이하로 떨어진 상태
  • 청색증(靑色症, cyanosis) 혈중 산소 농도의 저하 및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로 인하여 입술이나 조상 등 피부의 점막이 암청색을 띠는 형태
  • 횡문근융해증(橫紋筋融解症, Rhabdomyolysis) 갑작스러운 고강도 운동이나 감염질환 등으로 횡문군의 근육세포가 손상되면서 세포 속의 마이오글로빈, 칼륨, 칼슘 등이 혈액 속으로 녹아드는 질환

5. 피부계

  • 구진(丘疹, papule) 피부에 나타나는 발진 중 안에 고름이 없으며 작고 단단한 덩어리
  • 다형삼출성홍반(多形渗出性紅斑, erythema exsudativum multiforme) 피부 질환의 하나. 손등, 발등, 종아리 따위에 손톱만 한 크기의 붉은 반점과 작은 수두(水痘) 따위가 돋아나 물질이 생기면서, 가렵고 열이 나며 뼈마디가 아픈 증상
  • 발진(發疹, rash) 피부나 점막에 돋아난 작은 종기를 지칭
  • 소양증(搔痒症, pruritus)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어지는 주관적 감각으로 가려움을 주 증세로 하는 피부병. 습진, 피부염, 두드러기 등의 소양 증상을 모두 포함
  • 종창(腫脹, swelling) 부기(浮氣) 또는 부종(浮腫)으로 인하여 부은 상태, 몸이 붓는 증상
  • 홍반(紅斑, erythema) 여러 가지 자극에 의해 피부가 국한성으로 붉게 변하거나 혈액이 피부하층부에 고이는 현상

6. 호흡계

  • 천식(喘息, asthma)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반복적, 발작적 증상
  • 폐부종(肺浮腫, pulmonary edema)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폐정맥 및 모세혈관 내에서 체액이 빠져나가면서 폐에 과도한 양의 체액이 쌓여 호흡곤란 등을 야기하는 상태
  • 호흡장애(呼吸困難, dyspnoea) 숨을 쉬는 운동에 있어 스스로 느끼는 상태로 흔히 불편함으로 표현. 폐 기능 이상 시에도 발현될 수 있음
  • 흉통(胸痛, chest pain) 가슴통증, 가슴이 아프거나 결리는 질환

 

7. 기타

  • ALT(alanine aminotransferase)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 간세포가 손상받는 경우 농도 증가 (정상수치: 0~40 IU/L)
  •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간세포, 심장세포 등에 존재하는 효소. 간세포가 손상받는 경우 농도 증가 (정상수치: 0~40 IU/L)
  • GGT(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간 내의 쓸개관에 존재하는 효소. 쓸개즙 배설 장애가 있을 때 주로 증가 (정상수치: 남성 11~63 IU/L, 여성 8~35 IU/L)
  • LD50(Lethal Dose, 반수치사량) 일군의 실험동물 50%를 죽게 하는 독성물질의 양으로, 동물의 체중 1㎏에 대해 독물의 양(㎎)으로 나타낸다.
  • 막관통단백질(膜貫通蛋白質, transmembrane protein) 생체막의 지질 2 중층을 관통하여 생체막의 주요 구성요소가 되고 있는 막단백질.
  • 빌리루빈(Bilirubin) 파괴된 적혈구 내의 hemo가 과정을 거쳐 대사물로 재생성된 것으로 간 기능 이상으로 혈중 빌리루빈 수치 증가 시 황달(jaundice)이 나타남
  • 아급성(亞急性) 급성과 만성의 중간 성질.
  • 황체(黃體) 척추동물의 난소에서 난자가 배출된 뒤에 난소의 소포가 변화하여 생기는 황색의 조직 덩어리
  • 황체호르몬(progesterone) 황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하나. 주로 난소의 황체나 태반에서 분비되며, 임신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 건강서랍 글 더 보기

 

건강보험 EDI 시스템, 제대로 알기

 

건강보험 EDI 시스템, 제대로 알기

우리가 병원을 방문할 때마다 작동하는 보이지 않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바로 건강보험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입니다. 이 시스템은 의료기관이 환자를 진료한 후 청구하는 진료비를 전자적으

mohac.tistory.com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건강식품… 뜻과 개념의 차이 제대로 알기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건강식품… 뜻과 개념의 차이 제대로 알기

건강보조식품 광고들이 온통 우리를 현혹시킵니다. 제대로 알지 못하면 광고에 혹해 구입하기 쉬운 건강보조식품들, 먼저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건강식품 뜻과 개념의 차이, 용어 정의

gongdal.tistory.com

아스피린의 효능 부작용 주의할 점 | 해열진통제

 

아스피린의 효능 부작용 주의할 점 | 해열진통제

아스피린은 오랫동안 우리에게 해열진통제로 알려져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심혈관 질환 예방, 일부 암 예방 효과 등이 거론되며 마치 만병통치약처럼 언급되기도 하는데요, 효능과 부작용 알

gongdal.tistory.com

글루타치온 약리작용과 효능 효과 주의사항 부작용 의약품 살펴보기

 

글루타치온 약리작용과 효능 효과 주의사항 부작용 의약품 살펴보기

글루타치온은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알려진 물질입니다. 글루타치온의 미백효과를 두고 많은 제품들이 유통되고 있는 상황에서, 글루타치온(글루타티온)의 약리작용과 함께 효능 효과, 주의사

gongdal.tistory.com

구강호흡, 입 벌리고 자는 습관 고치기 종합가이드

 

구강호흡, 입 벌리고 자는 습관 고치기 종합가이드

수면 중 구강호흡은 구강건조증, 충치 증가, 수면의 질 저하를 유발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얼굴 변형과 수면무호흡증을 초래하기 때문에, 반드시 고쳐야 하는 습관입니다. 이에 본 글에서

gongdal.tistory.com

노안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눈 영양 보충제 |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 뜻 효능

 

노안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눈 영양 보충제 |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잔틴 뜻 효능

최근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와 환경적 요인으로 노안 발생 연령이 낮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노안은 올바른 관리와 영양 보충제 섭취로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노안 예방 및 개선에 효과

gongdal.tistory.com

잇몸질환 예방, 치아관리를 위한 제품 | 먹는 약 바르는약 구강세정제 고무치간자극기까지

 

잇몸질환 예방, 치아관리를 위한 제품 | 먹는 약 바르는약 구강세정제 고무치간자극기까지

잇몸 질환은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방치하면 심각한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잇몸 질환 예방과 치아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먹는 약, 바르는 약, 구강 세정제, 고무

gongdal.tistory.com

목에 가래 낀 느낌, 이물감의 원인과 예방 및 대처법

 

목에 가래낀 느낌, 이물감의 원인과 예방 및 대처법

기침이나 재채기 등의 감기 증상 없이 목에 가래가 낀 듯한 이물감이 지속된다면 불편하기도 하려니와, 왜 이럴까? 무엇 때문일까? 무슨 나쁜 병은 아닐까? 걱정도 됩니다. 목에 가래가 낀 듯한

gongdal.tistory.com

중년에 필요한 근력 운동, 무릎 관절염에 좋은 운동
 

중년에 필요한 근력 운동, 무릎 관절염에 좋은 운동

사람의 근육량은 30세를 전후해 줄어들기 시작해, 50세 이후 중년의 근육은 매년 1~2% 감소하고, 10년이면 평균 4kg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5세엔 약 25~35% 정도가 감소하고 80세엔 40

gongdal.tistory.com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인정한 위 건강기능식품 8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인정한 위 건강기능식품 8

위 건강 알아보고 있습니다. 위궤양, 헬리코박터균에 이어 위 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 8가지 알아봅니다. 모두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인정한 원료입니다. 위 건강이 안 좋다면

gongdal.tistory.com

[관절 건강 #3] 퇴행성 관절염 골관절염의 단계별 치료법 총정리

 

[관절 건강 #3] 퇴행성 관절염 골관절염의 단계별 치료법 총정리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나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퇴행성 관절염, 골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입니다. 심하면 일상생활조차 힘들어지지만 그

gongdal.tistory.com

[두통] 아침 두통 반복된다면 이 질환 의심? _ 아침 두통 제대로 알기

 

[두통] 아침 두통 반복된다면 이 질환 의심? _ 아침 두통 제대로 알기

평소엔 없던 두통이 아침, 잠 깰 때마다 반복된다면 겁이 납니다. 뇌종양을 의심해 봐야 한다는 이야기에서부터 수면무호흡이 원인이다, 다이어트, 카페인, 알코올이 원인이다 등 다양합니다.

gongdal.tistory.com


자료출처 : 국립수목원

 

댓글